PEMDAS 원칙, f string, 멀티라인 string
연산의 우선순위 법칙 PEMDAS
미국에선 펨다스로 부른다드라...
내가 그래도 JS나 TS 입문한지 이제 1년 가까이 된것 같은데
왜 처음듣는것 같은건지는 모르겠다(...)
비단 파이썬만이 아닌 컴퓨터 연산의 기초라고 생각하자.
사칙연산이야 중학생 고등학생때 배우니까 그렇다 쳐도
괄호랑 제곱수는 헷갈릴 만 하다.
기초 중의 기초이니 (이거 헷갈리면 코드짜는데 굉장히 불편함)
꼭 숙지해야 하겠다.
F string
파이썬 3.6부터 포함된 나름 따끈따끈한 기능이라고 한다.
person = "성주"
place = "학교"
라는 변수가 있고 '성주는 학교에 간다' 는 문장을 출력시키려면
print(person + "는 " + person2 + "에 간다") 라고 제일 일반적으로 출력하거나
%s 같은 알아보기 힘든 포매팅을 사용하거나, str.format을 붙이는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
가장 간단한 방법
print(f'{person}는 {place}에 간다')
처럼 문자열 앞에 f자만 붙이는, 매우 직관적이고 깔끔한 표기법이 바로
f string이다. 자주 애용하자.
여담으로, 보통 프로그래밍에서 뭔가 쉬운 방법은 속도나 용량 등의 단점이 있었는데
심지어 이건 더 빠르다고 한다. 안 쓸 이유가 없다.
멀티라인 String
사실 별거 없고, 줄바꿈 \n 이 표시 없이
어떤 문자를 여러 줄에 걸쳐서 표현하고 싶을때
``` 혹은 """를 쓰면 된다.
사실 이걸 갑자기 왜 얘기하냐면
scissors = '''
_______
---' ____)____
______)
__________)
(____)
---.__(___)
'''
이게 가위바위보에서 가위인데
이렇게 표현한게 참 신박(...) 해서..
이걸 리스트에 넣고 꺼내쓰시드라...